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0 참고할 사이트#4 주피터라이트(Jupyter lite) 이번에 우연히 알게된 주피터라이트..! 아래 사이트를 통해 접속이 가능하다. 기존 주피터노트북은 아무래도 회사 노트북 등에 설치가 부담스러운 부분이 있었는데, 웹상에서 바로 실행되는 구조이다보니 이를 활용하면 자투리 시간에 문제 있는 코드 등을 수정하는데 활용할 수 있을 것 같다. https://jupyterlite.github.io/demo/lab/index.html JupyterLite jupyterlite.github.io 화면 구성도 기존 주피터 노트북과 동일하여 이질감이 없다. 사실 내 기준에서는 사용하던 자료들도 함께 불러올 수 있는 구글 코랩이 편한 면이 있지만, 구글 코랩은 구글 드라이브를 통해 시작되는데, 구글 드라이브는 회사에서 보안정책으로 인해 아예 막혀있다보니 선택이 불가능하므로.. 2023. 5. 14. 졸업논문작성기#9 코드 구현 시작..?! (feat. 연구 vs 개발 II) 어느덧 또 한 달이란 시간이 훌쩍 지나가버렸다. 그나마 진행 상황을 이렇게 작성하고, 해놓은 것도 없지만 2주마다 교수님을 만나뵙고 죄책감을 느끼는게 정말 필요하다고 느껴지는게 이마저 없다면 정말 뭐 1년이고 2년이고 아무 성과도 없이 시간만 지나버리지 않을까 싶은 생각이 든다. 연구냐 개뱔이냐의 문제도 이제 나름의 이해가 됐는데, 이전과는 버전이 조금 변경된 것 같다. 파이썬을 통해 라이브러리를 활용해서 무언가를 분석하게 되는데, 라이브러리를 그대로 사용해서 내 데이터를 분석한다면 사실 개발에 가깝다고 보면 될 것 같고, 라이브러리를 그대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라 Cost Function 등을 본인이 직접 정의해서 활용하거나 기존에는 없던 파라미터를 추가하여 분석한다면 연구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을 것 같.. 2023. 5. 14. 참고할 사이트#3 Embedding projector 자연어처리 공부하는 과정에서 타고 타고 가다가 발견한 사이트인데, 굉장히 유명한 사이트인듯.. 뭔가 워드임베딩이란 이런 것이다라는 걸 시각적으로 느껴볼 수 있어서 좋았다. https://projector.tensorflow.org/ Embedding projector - visualization of high-dimensional data Visualize high dimensional data. projector.tensorflow.org 여러 조건들을 줘볼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아래는 wine 이라는 단어에 대해 코사인유사도를 기준으로 해서 상위 10개 단어를 뽑아본 예시화면에 해당한다. 마우스로 확대 혹은 회전이 가능하다. 3차원 뷰로 어느 정도 거리에 있는지 확인해볼 수도 있다. 2023. 5. 6. 공부용유튜브#1 처음코딩 유튜브를 통한 강의들은 전반적으로 깊이가 없다..는 생각을 해서 패캠 등 강의를 신청해서 듣곤 했었는데, 공부를 하다가 모르는 부분이 명확히 있을 때 검색을 하다보면 어려운 내용을 너무 잘 설명해주는 좋은 유튜브들이 많다는 점을 새삼 깨달을 수 있다. 근데 보통 그런 유튜브들은 오히려 구독자수가 적어 검색 자체가 쉽지 않다는 점.. 수업 시간에 역전파에 대한 개념이 너무 어려워서 찾아보다가 발견한 오아시스 같은 강의.. 바람의 머신러닝 시리즈인데, 총 105강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선 중간고사를 봐야 하니 역전파 부분만 발췌해서 듣고, 찬찬히 정주행 해볼 계획이다. https://youtu.be/fGxiKeNLSts 2023. 4. 23. 이전 1 2 3 4 5 6 7 ··· 13 다음 반응형